[뉴스큐브] 곳곳 집중호우 피해 발생<br /><br /><br />장맛비가 쏟아졌다 그치기를 반복하며 40일이 넘도록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역대 최장인 49일 기록을 깰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제4호 태풍 하구핏까지 북상하면서 비구름을 더 강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이미 많은 비로 지반이 약해진 상태여서 산사태와 침수 등의 호우 피해가 더욱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소식, 김승배 한국기상산업협회 본부장,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모시고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현재 기상 상황을 두고 엎친데 덮친 격이다 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. 이미 40일이 넘는 긴 장마로 전국 곳곳에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태풍까지 북상 중이기 때문인데요. 현재 태풍 위치가 어디고, 또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어느 정도일 거라고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태풍의 영향으로 수요일까지 최대 500mm의 폭우가 예보돼있는데요. 특히 조심해야할 지역이 있다면 어느 곳입니까?<br /><br /> 말씀하신대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물폭탄 수준의 강한 비가 쏟아지면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는데요. 서울도 지금 산사태 경보가 내려진 상황입니다. 산사태에 주택까지 떠내려갔고, 집에 있던 노인이 사망하는 일까지 벌어졌는데요. 산사태 발생원인,<br />산사태로 인한 사고 왜 막을수가 없을까요?<br /><br /> 특히 이번에 침수피해나 산사태 피해가 클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살펴보면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비가 내렸기 때문인데요. 시간당 강수량이 100mm가 넘는 지역도 있었는데, 흔한 일은 아니지 않습니까? 이번 장마의 특징이라고 봐도 될까요?<br /><br /> 문제는 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단순히 매몰에만 그치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. 산사태로 축사가 붕괴되고 그로 인해 가스폭발까지 발생했고, 토사가 철길과 도로에 유입되면서 열차 운행이 중단된 경우도 많았는데요. 이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은 뭐라고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특히 어떤 시설들이 산사태에 취약합니까? 미리 알 수 있는 사전 징후들이 있습니까?<br /><br /> 특히 앞서 큰 피해를 입었던 대전에서는 코스모스아파트가 폭우로 침수되는 일도 있었는데요. 교수님께서는 산사태로 인한 피해로 추정하셨는데. 그 배경이 무엇이고, 또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은 뭔지도 말씀해주시죠.<br /><br /> 그런가 하면 오늘 오전 강남의 도로에서는 땅꺼짐 현상도 발생했습니다. 다친 사람은 없었지만, 자칫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던 문제인데요. 폭우에 땅꺼짐 현상이 발생한 원인은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가 하면 이번 장마의 또 다른 특징이라고 할까요. 중부지방은 호우특보가 발효된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특보가 발효되는 등 이례적인 '날씨 양극화'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 이런 극과 극 날씨를 보이는 이유는 뭔가요?<br /><br /> 역대 최장 장마기간이 49일인데요. 이번 장마가 역대 최장 장마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 태풍의 영향이 언제까지 지속될지, 또 태풍이 지나간 뒤에도 비가 계속될 지도 궁금한데요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